인체의 중심을 이루는 척추는 신체를 지탱하고 자세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허리 부분의 요추는 상체를 지탱하고 활동 범위가 넓어 다른 부위보다 더 큰 힘과 압력을 받는다. 이로 인해 마모와 퇴행이 빠르게 나타나면서 퇴행성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진 질환을 말한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다양하다. 척추관 앞부분으로는 디스크가 부풀어 튀어나오고 뒤쪽에서는 후관절 및 황색 인대가 커지면서 척추관을 침범하게 된다. 침범한 구조물은 그 사이를 지나가는 중추신경을 압박해 복합적인 증상을 일으킨다.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
협착증 초기에는 허리와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통증은 허리를 굽히면 일시적으로 완화되는데, 이는 척추관 통로가 허리를 숙이는 동작에서 일시적으로 넓어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허리를 똑바로 펴거나 뒤로 젖히면 통로가 좁아지게 되면서 통증은 악화된다. 시간이 지나갈수록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에 이어 발바닥까지 찌르거나 시린 증상이 나타나며 다리의 힘이 빠져 발 처짐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방치할 경우 신경의 압박 정도가 커져 넓은 범위로 감각 소실이나 괄약근 장애, 마비 증세까지 생길 수 있다. 이때는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통증으로 보행이 불편하다면 치료시기를 놓치지 말고 반드시 전문의에게 내원해 진단받는 것이 좋다.
서울 광혜병원 박 경우 대표원장은 “나이가 들어 척추가 퇴화될수록 협착의 정도는 점점 더 커지고 통증 역시 그에 비례한다. 시간이 지난다고 통증은 자연스레 완치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이 손상되기 때문에 수술 이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찾고 맞춤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수술치료로는 척추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반강성고정술을 적용해 볼 수 있다. 반강성고정술은 척추 앞쪽엔 나사산 형태의 원통 케이지를 삽입하고 뒤쪽으로는 스프링 형태의 고정 장치를 사용해 협착을 해소하는 방법이다. 척추의 정상적인 하중 분배 구조를 유지하고 디스크 높이를 복원함으로써 수술한 위아래 척추의 퇴행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척추의 가동 범위가 정상 상태와 유사하여 허리의 뻣뻣함 없이 구부리는 동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반강성고정술은 협착증 외에도 중증 이상으로 진행된 척추전방전위증, 척추분절이 불안정한 척추질환, 디스크가 닳아버린 퇴행성 허리디스크 환자에게도 적용해 볼 수 있다. 다만 수술은 환자의 치료 이력이나 수술적 교정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