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 (38세, 여)는 바쁜 업무로 인해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이후 속쓰림, 상복부 팽만감, 구역감이 반복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소화제를 복용했지만, 증상은 호전되지 않았다. 심각성을 느낀 A씨는 병원을 찾아 검사를 했지만, 원인 모를 ‘기능성 소화불량’을 진단받았다.
위담한방병원 노현민 원장
A씨처럼 원인 모를 속쓰림과 복통을 겪는 ‘기능성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기능성소화불량은 복통, 속쓰림, 복부 팽만, 트림, 오심 등 다양한 소화기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내시경 검사나 영상의학과 검사에서 명확한 원인을 발견하기 어려워 치료에 난항을 겪는 환자가 많다.
한의학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을 담적병으로 보고 있다. 담적병은 과식, 야식 등으로 인해 위장 내부에 남은 음식물 노폐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한 담 독소가 위장 외벽에 쌓이는 질환이다. 담 독소는 위장의 기능과 운동성을 저하시켜 음식물이 얹힌 느낌, 속쓰림, 조기 포만감 등의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을 유발한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에 담 독소가 쌓이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내시경 검사로는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장 외벽과 내부 장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EAV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담적병으로 진단되면, 담적병 치료를 통해 저하된 위장 운동성을 개선해 볼 수 있다.
먼저, 특수한 미생물로 발효한 한약을 복용하여 위장에 쌓인 담 독소를 분해하고 제거하는 발효 한약 요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복부에 온열 자극을 주어 저하된 위장 운동성을 개선하고 위장 세포의 흡수력 및 투과력 증진을 돕는 한방 온열 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순수 생약제를 증류 멸균해 만든 한방 주사액을 경혈에 놓는 약 침 요법을 병행해 치료 기간 단축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단, 치료 효과와 기간은 환자의 몸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치료와 더불어 생활 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폭식, 과식 등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하고 담백하고 신선한 음식을 소량씩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스트레스가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인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노현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