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후 잦은 속쓰림이나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때 흔히 일시적인 증상이라 생각해 소화제만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약을 먹어도 잠시뿐이고 다시 재발하는 경우, 단순한 소화불량이라 생각하고 넘기기보다는 담적병이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담적병이란 과음, 과식, 폭식 등의 잘못된 식습관이 불러온 질병이다. 이런 잘못된 식습관은 위가 음식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해 그 찌꺼기들이 위 점막에 쌓이게 되는데, 그 찌꺼기들이 모여서 덩어리가 되고 위벽이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각종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위담한방병원 노기환 원장
담정병은 단순히 위장건강만을 해치는 것이 아니다. 담 독소는 혈관이나 림프를 통해 우리 몸의 전신으로 퍼져 각종 전신 질환을 유발한다. 두통, 어지럼증, 우울증, 치매 등의 뇌관련 질환에서부터 당뇨병 고혈압처럼 치료가 힘든 만성질환, 그리고 아토피,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등 전신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담적 검사는 위장 내부를 검사하는 일반내시경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워 경락공릉진단기라고도 불리는 한의학적 검사인 EAV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 외 설진, 맥진, 복진 등을 통해 굳어진 위장 조직의 범위를 평가, 구분하고 전신 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검사 상 담적이 확인되었다면 위장 내의 오염된 환경을 개선하고, 굳어진 위장 외벽을 풀면서 독소물질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해 증상완화가 가능하다. 특수한 미생물을 발효처리한 한약을 투입하면 위와 장 부위에 직접 스며들어 담독소가 녹게 되고, 굳었던 위장이 풀려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전신 질환에 이미 시달려왔던 중증 환자라면 각 부위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로마 소적 치료를 병행해야한다. 다만 치료는 환자의 상태마다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전문의의 진단이 필수적이며, 효과 및 기간 역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위장은 생활습관에 영향을 많이 받아 평소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폭식, 과음, 자극적인 음식 등 나쁜 식습관이 지속 된다면 증상은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정해진 시간에 적당량의 음식을 천천히 먹는 식습관을 가지도록 해야하며, 가벼운 운동이나 취미생활로 스트레스관리를 하는 것도 좋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노기환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