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찾기 어려운 과민성대장증후군, 장기기능 약화에 주목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아무런 기질적인 문제 없이 복부 통증복부 팽만감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거나 변비설사배변 습관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배변 후에는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이 때문에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는데반복되면 수차례 배변에도 잔변감이 남으며 복통복부팽만감이 만성화되기 쉽다.




[사진 강남위담한방병원 최규호 원장]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초음파 검사에서도 특별한 소견이 나타나지 않으며 장내시경 검사를 해봐도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신경성’, ‘스트레스성으로 치부된다.

 

한의학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간장의 화가 장을 경련시키거나, 콩팥과 장이 냉한 환자가 찬 음식을 먹어 장이 경직되어 과민성대장증후군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혹은 심장이 약한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하면 심장이 위축되어 대장에 필요한 혈액을 원활히 공급하지 못하는 것도 원인 중에 하나이다.

 

또 소화되지 못한 음식물 찌꺼기가 변성된 물질인 담적이 대장과 이웃 장기에 붙어 기능저하를 초래했을 때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과민성대장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치료하고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생 원인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약물치료로 증상을 완화하고, 한방치료를 병행하여 전반적인 대장과 소화기관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잘 낫지 않고 재발이 잦은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장 외벽에 쌓여 있는 담 독소을 제거 배출하기 위해 냉한 장을 따뜻하게 하는 한약요법과 굳어진 장의 조직을 풀어주는 아로마 치료, 소적치료 같은 치료를 적용한다. 치료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줄이고, 손상된 장 내 혈관 및 면역 세포를 개선시킨다. 그리고 굳어진 장 근육을 풀어줌으로써 위와 장 기능이 정상화되고, 각종 위장병 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 무엇보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이 또 다시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치료의 효과나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및 검사가 필요하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적극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평상 시 환자 스스로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건강한 식단을 구성해서 30분 이상 천천히 식사하고, 금연 및 금주의 실천, 하루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등을 실천한다면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는 물론 각종 위장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 헬스인사이트(HeathInsight)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