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현대인은 속쓰림을 만성질환처럼 앓는 경우가 많다. 업무 스트레스는 물론 직장에서의 빠른 식사 습관으로 인한 속쓰림이 대부분인데, 만약 타는 듯한 명치 통증과 구취가 동반된다면 역류성식도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역류성 식도염은 빠르게 먹는 습관, 심한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위산이 역류하는 질환이다. 위산이 식도방향으로 역류하면, 강한 산성이 식도를 자극하게되고 이로 인해 염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엔 위산억제제, 위벽 보호제 등 약물 처방과 식습관 개선 등의 비교적 가벼운 처방만으로 충분히 증상 완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약을 복용해도 증상이 낫질 않거나, 이미 만성화된 상태에서 두통 등의 기타 증상이 동반된다면 담적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담적병은 잘못된 식습관으로 소화기능이 저하되어 음식물이 위장에 쌓여 부패하며 발생한다. 이때 부패한 음식물은 담독소라는 병리물질을 유발하게 된다. 이 독소는 위장 외벽에서 쌓이기 시작하며, 병이 진행됨에 따라 혈액과 림프 등을 타고 온 몸으로 퍼져나간다. 이런 독소가 식도와 위장에 쌓이게 되면 식도에서 역류를 막아주는 근육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쉽게 역류가 발생한다. 또한 위장이 경직되어 위장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잦은 역류가 발생하곤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담독소는 일반적인 내시경이나 MRI 등의 검사법으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담독소가 위장 내부가 아닌 외벽에서 발생한다는 점 때문이다. 따라서 담독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하기 위해선 서양의학의 이론과 한의학의 이론을 접목시켜 개발한 EAV검사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EAV는 미세한 전류를 통해 담독소의 위치는 물론 쌓여있는 정도 까지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강남위담한방병원 최서형 대표원장은 “역류성식도염 약을 먹어도 증상이 낫지 않는 이유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담독소를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담독소를 녹이고 배출시켜 담적병을 치료해야 만성화된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할 수 있다. 담독소 제거를 위해서는 한약, 약침요법 등이 사용된다. 한약은 특수 미생물로 발효처리한 뒤 환자의 체질에 맞게 처방되는 발효한약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위장관 내부에 열을 발생시켜 담독소를 녹이고 체외로 배출시킨다. 이와 함께 약침요법은 한약 엑기스를 혈자리에 직접 주입하여, 기혈의 순환을 도울 뿐만 아니라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치료법은 개인에 따라 그 효능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의 충분한 상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