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여, 36세)는 몇 개월간 반복된 야근으로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일이 많아졌다. 어느 날부터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을 느꼈지만, 피로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이라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그러나 휴식을 취했는데도 증상은 점점 심해져만 갔다. 결국 병원을 찾은 A씨는 허리디스크를 진단받았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가 과도한 압력을 받아 밖으로 돌출되어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장시간 앉아 있는 등의 잘못된 생활 습관이 디스크 탈출의 주된 원인이다. 초기에는 다리 저림이나 요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를 방치하면 질환이 만성화되어 보행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정확한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허리디스크가 경미한 초기 단계에서는 약물 치료나 물리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이미 만성화되었거나 보존적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 추간공확장술이나 경막외 신경성형술과 같은 시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추간공확장술은 디스크가 원래 위치로 흡수될 수 있게 돕는 치료다. 3~4mm의 최소 절개를 통해 특수 키트를 삽입한 후, 신경을 압박하는 두꺼워진 인대 등을 제거한다. 협착이 제거된 후에는 신경 주변의 염증 인자를 개선하는 염증 치료제를 뿌려 마무리한다. 추간공확장술을 시행하면 신경과 혈관의 압박이 해소되어 허리는 물론 하체 통증 완화와 혈류 개선 효과까지 기대해볼 수 있다.
추간공확장술은 부분 마취 후 최소 절개로 진행되는 시술로, 치료 시간이 짧고 근 손실이나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나 고령 환자 등도 부담 없이 시도할 수 있다. 단, 환자에 따라 시술 방법과 효과는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등의 생활 습관은 디스크에 과도한 힘을 가해 디스크 탈출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리하게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피하고, 의자에 앉을 때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꾸준한 운동을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해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것도 허리디스크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움말 :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