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각증상 없는 담석증, 증상 없다고 방치하면 안돼

담석증은 담낭(쓸개) 및 담도에 있는 담즙이 돌 같이 단단하게 굳어져 생기는 질환이다. 담석증은 대부분 무증상이라 우연히 발견되거나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심코 방치했다가는 암이 발병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양병원 정승규 원장


담석은 발생 위치에 따라 담낭담석, 담도담석이라고 한다. 인체의 간에서는 음식 소화를 돕는 담즙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담낭에 저장된다. 그 담즙이 비정상적으로 돌처럼 굳어지고 쌓이는 것이 담석이다.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흑색, 갈색) 담석으로도 나뉘는데, 콜레스테롤 담석이 대부분(80% 가량)을 차지한다. 콜레스테롤성 담석은 콜레스테롤 양이 증가하면서 발병하고 색소성 담석은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나며 유전적 질환이나 간경변이 있는 환자에게 발생한다.

 

담석증 환자의 60~80%는 이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약 20%에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의 환자는 담낭염 등 여러 합병증을 앓는다.

 

담석증 환자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은 복통이며, 눈 흰자와 얼굴색이 노란빛을 띠는 황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오심과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평소와 달리 소화불량이 잦고, 오른쪽 옆구리에 1시간 이상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게 좋다.

 

대부분의 담석 환자들은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통해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수술적 치료는 필요 없고 음식조절과 가벼운 운동 등 규칙적인 일상생활만으로도 큰 걱정 없이 지낼 수 있다. 그러나 담석으로 인해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난다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증상이 반복되면 담낭염으로 이어질 수 있고 급성은 치료시기를 놓치면 패혈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담석 환자의 대부분이 무증상인만큼 담낭암으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어 예방 차원에서 담낭절제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담석을 제거하는 수술은 당시에는 괜찮아도 다시 비정상적인 담낭에서 담석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완치를 위해서는 한 번 수술할 때 담낭을 절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 시행하는 담낭절제술은 복강경 수술로 진행되며, 1cm 내외의 구멍을 1~4개 뚫어 수술을 진행한다. 복강경 수술은 복부근육층이 잘리지 않기 때문에 10-20cm의 절개를 필요로 하는 개복수술보다 환자의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선의 담석 예방법은 규칙적인 식생활과 균형 잡힌 식사, 지방(콜레스테롤 등)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즐겨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급격한 다이어트보다는 꾸준한 운동으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움말 : 양병원 정승규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사이트(HeathInsight)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