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인해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식사 후나 스트레스 상황 이후에 복통과 설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과민대장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과민대장증후군은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두통, 피로 같은 전신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과민대장증후군은 내시경 검사 등에서 원인이 되는 질환을 발견하기 어려워 신경성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다.
한의학에서는 과민대장증후군을 다른 관점으로 분석하여 이를 ‘담적병’과 연관된 질환이라 보고 있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 근육층에 병리 물질인 담 독소가 쌓여 굳어지는 질환이다. 담적의 원인인 담 독소는 폭식, 불규칙한 식사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위장 내에 남은 음식물이 부패하며 만들어진다. 위장 내에 독소가 발생하면 유익균은 감소하고 병원성 미생물이 증가한다. 또한 위장 운동 기능이 저하되어 미세한 염증에도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과민대장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 근육층에 독소가 쌓이는 질환으로, 위장 내부를 중심으로 관찰하는 일반적인 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장 외벽을 비롯한 내부 장기의 상태와 담 독소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EAV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또한 환자에 따라 복진, 설진, 맥진 등의 검사도 병행 가능하다.
검사를 통해 담적병으로 진단되었다면, 담 독소 분해와 위장 점막을 보호를 돕는 발효 한약 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위장 자율신경을 활성화하고 혈액 순환의 촉진과 저하된 위장 운동 개선을 돕는 한방 온열 요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10가지 한약재를 넣은 토양 팩으로 복부를 찜질해 위장 근육 긴장 이완과 담 독소 배출을 돕는 약 찜 치료도 병행할 수 있다. 단, 치료 효과와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과민대장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료와 함께 평소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식이나 불규칙한 식사, 기름진 음식 등 잘못된 식습관을 피하고 담백한 음식을 소량씩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노기환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