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기둥 역할을 하는 척추는 신체를 지지하고 다양한 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 중요한 부위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척추를 구성하는 디스크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면서 척추 건강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 특히 허리디스크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 꼽힌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요통, 다리 당김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걷거나 앉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거나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디스크를 악화시키는 생활 습관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 등의 보존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질환이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시술이나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문제는 수술에 대한 부담이다. 조직 손상의 위험성과 긴 회복 기간 등으로 인해 수술 치료를 꺼리는 환자가 적지 않다. 이때 고려해 볼 수 있는 치료법이 바로 추간공확장술이다.
추간공확장술은 부분 마취 후 3~4mm의 최소 절개를 통해 특수 키트를 삽입하는 시술로, 좁아진 추간공을 확장하는 치료법이다. 시술 과정에서 디스크 등를 제거하고, 약물을 주입해 통증과 염증을 개선한다. 이를 통해 좁아진 추간공이 확장되면서 신경과 혈관의 압박이 해소되고, 요통과 다리 당김 등의 증상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혈류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최소 절개로 진행되어 회복이 빠르고 당일 시술 후 퇴원이 가능해 바쁜 일상을 보내는 직장인이나 고령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술 효과와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 후 치료를 선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허리디스크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치료와 더불어 생활 습관 교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로 인해 근육이 경직되기 쉬운 만큼,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스트레칭으로 근육과 인대를 유연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드는 활동을 피하고, 허리 기립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척추의 안정성을 높이면 질환 예방과 증상을 완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움말 : 서울 광혜병원 박경우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