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라면, 매운찜, 매운탕, 매운볶음 등 한국인들은 유독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즐긴다. 스트레스를 먹으면서 쉽게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식습관 문화로 위염에 쉽게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화제 같은 약을 복용하면서 위염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하지만 속이 쓰리거나 명치 통증 등의 증상이 반복되고 약을 먹어도 나아지는 것이 없다면 ‘위축성 위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사진:위담한방병원 최서형 대표원장」
위축성위염은 위내시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만성 위염의 흔한 형태 중 하나로, 위 점막에 위축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점막이 얇아지고, 주름이 소실됐거나 혈관이 비쳐 보이기도 한다. 당장 소화기능의 문제나 특별한 건강 이상은 없지만 문제는 이를 방치할 경우 장상피화생이나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상피화생은 심하게 손상된 점막에서 위 점막세포가 재생되지 못하고, 그 자리를 소장이나 대장의 점막세포와 비슷한 모양의 세포가 채우는 것을 말한다.
위장 건강이 악화되어 있다면 최악의 경우 위암에 노출 될 수 있으므로 ‘위축성위염’ 단계에서라도 반드시 제대로 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벼운 증상이 있더라도 방치하지 말고 처음부터 치료를 서두르는 것이 좋다.
한의학에서는 위장 점막이 위축되고 얇아지는 원인을 심장과 콩팥의 문제 때문으로 본다. 심장이 약하면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될 때 위장으로 혈액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위장 점막이 빈혈에 빠지면서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 위장 점막이 위축하게 되는 경우 한방에서는 심장을 강화시키는 치료를 적용한다.
또한 콩팥은 윤활유과 같은 좋은 진액을 저장하여 몸의 곳곳에 공급하며 특히 위장에 뮤신이라는 점막보호 물질을 공급한다 이 점액 물질은 위장으로 유입되는 각종 독성 물질과 과도한 위산의 공격으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며 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선천적으로 콩팥이 약할 경우에는 이 점액이 위장으로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위축성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위산 공격에 손상을 받아 궤양이 생기기 쉬우며 진액을 충족시키는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단, 치료는 환자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 충분한 검사와 상담이 선행되어야 한다.
위축성위염을 비롯한 위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올바른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소화불량을 유발하는 인스턴트와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며, 식사는 천천히 꼭꼭 씹어먹는 것이 좋다. 또한 식후 바로 눕거나 앉기 보다는 산책과 조깅 등의 가벼운 운동을 통해 원활한 소화를 돕는 것이 위와 장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최서형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