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발표, 시험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복통과 설사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고, 별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다면 과민대장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과민대장증후군은 장염 등의 뚜렷한 원인이 없음에도 설사와 복통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질환이다. 뿐만 아니라 복부팽만, 변비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내시경 검사를 받아도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다. 또한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을 섭취하더라도 일시적 증상 완화만 있을 뿐 증상의 완치가 어려운 편이다.
만약 이처럼 약을 먹어도 증상이 낫질 않고, 검사를 받아도 원인을 알 수 없다면, 담적병에 의한 증상이라고 의심해볼 수 있다. 담적병은 담독소가 쌓이는 질환이다. 소화기능이 저하되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한 음식물 찌꺼기는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 담독소로 변하는데, 해당 독소가 위장 외벽에 쌓이며 담적병을 유발하는 것이다.
담독소가 쌓인 위장은 기능이 저하되고 냉한 성질을 갖으며 복통과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담독소는 위장 외벽에 쌓이기 때문에 내시경 등의 일반적인 검사로는 원인을 파악할 수 없는데, 이러한 특성 탓에 담적병을 과민대장증후군의 원인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구위담한의원 김판준 원장은 “담적병은 진단하기 위해선 혈액내 담독소 관찰 현미경을 통한 특수 검사가 진행된다. 해당 검사는 채혈 없이 진행되는 혈액검사로, 미세한 모세혈관을 모니터를 통해 세부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이를통해 혈관의 형태, 혈액의 흐름 등을 직접 육안으로 파악하며 담독소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EAV를 통해 담독소의 위치를 파악했다면, 담적치료를 통해 담독소를 제거해야 한다. 대표적인 담적치료법에는 발효한약요법, 아로마치료, 소적치료 등이 있다. 발효한약요법은 담적병 치료를 위해 특수하게 개발한 미생물로 발효처리한 한약을 처방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체내 열을 발생시켜 담독소를 녹이고 배출하게 된다. 또한 아로마치료, 소적치료는 미세한 열과 진동을 통해 마사지해 담독소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아로마치료의 경우 아로마 작용을 통해 담적제거와 함께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소적치료는 강한 해독성분의 한약재를 도포해 체내 깊숙한 곳에 쌓인 담독소까지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치료법은 모두 개인의 체질, 기저질환 등에 따라 효능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의 처방 후에 진행되어야 한다.
끝으로 담적병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예방하는 것이 좋다. 예방을 위해서는 소화기능에 해로운 자극적인 음식, 야식, 폭식 등을 자제하고,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통해 소화를 돕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