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 잘 낫지않는다면? 숨은 원인 '담적병' 확인하세요

최근 불규칙한 식사와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역류성 식도염이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단순한 소화 불량으로 생각하기 쉽다.



{사진설명 위담한방병원 노현민 원장}

 

 

식도염을 방치할 경우 식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바렛식도로 진행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속쓰림, 가슴 통증, 목 이물감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즉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더불어 약물 치료에도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위장 질환이 아닌 '담적병'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담적병은 과식, 야식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한 담 독소가 위장 외벽 근육층에 쌓여 굳는 질환이다. 위장에 독소가 발생하면 소화기능이 저하되어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고 남아 가스를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이 약화되어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위장 외벽 근육층에 담 독소가 쌓이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워 원인을 특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담적병이 의심되는 환자는, 위장 외벽과 내부 장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EAV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검사를 통해 담적병으로 진단되었다면, 특수한 미생물로 발효한 생약을 복용하여 담 독소 분해와 배출, 위장 점막을 보호를 돕는 발효 한약 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복부에 온열 자극을 주어 위장 운동성 개선과 혈액 순환 촉진을 돕는 한방 온열 요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순수 생약제를 멸균한 한방 주사액을 놓아 치료 효과 증진과 기간 단축을 돕는 약 침 치료도 병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로 담 독소를 제거하고 저하된 위장 운동 기능을 개선하여 역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 환자에 따라 치료 효과와 기간은 상이할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 후 진행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역류성 식도염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고 최소 3시간 정도 간격을 두며, 과식과 과음, 늦은 야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직장인들의 경우 업무 중 장시간 앉아있는 습관이 위장 운동을 저하시킬 수 있어, 틈틈이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노현민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사이트(HeathInsight)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