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 후에 마른기침 또는 속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증상이 장기간 반복된다면, 역류성식도염을 의심해보고 빠른 치료를 받아야한다. 만약 역류성식도염을 별다른 조치 없이 방치한다면 식도암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류성 식도염의 주요 증상은 마른기침, 속쓰림과 함께 목 이물감이나 가슴통증, 심한 구취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잦은 트림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는 위장 내부 압력이 과하게 상승함에 따라 위산이 역류하며 발생하는 증상이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이런 역류성식도염을 장기간 방치하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강한 위산에 의해 궤양이 발생하거나 바렛식도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바렛식도증후군의 경우 식도 하부가 위산에 장기간 노출되며 염증이 생기고, 식도 하부 표면의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증후군이다. 해당 증후군은 특히 주의해야 하는데, 식도암 발병률을 급격하게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역류성식도염의 발생 원인은 다양한데, 한의학에서는 담적병을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담적병은 잘못된 식습관으로 소화되지 못한 음식물이 부패하며 발생하는 질환이다. 음식물이 부패하면 담독소라는 병리물질이 발생하는데, 이 담독소가 위장 외벽과 식도 하부에 쌓이고 딱딱하게 굳게된다. 위장 외벽이 굳어지면 위장 내 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못해 압력이 상승하며 쉽게 역류가 발생하고, 식도 하부가 굳어 위 속 내용물의 역류를 막지 못해 역류성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다.
위담한방병원 최서형대표원장은 “담적병으로 인해 역류성식도염이 발생했다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보통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사용되는 제산제 등의 약물로는 담독소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해당 경우엔 담독소 제거가 가능한 담적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하며, 가장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발효한약, 소적 치료 방법 등이 있다”라고 전했다.
발효한약 치료법은 특수 발효처리된 한약을 처방하는 방법으로, 위장관 내부에 열을 발생시켜 담독소를 녹여낸다. 또한 소적치료는 담독소 제거와 함께 딱딱하게 굳은 위장, 식도 하부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낸다. 그러나 해당 치료법은 개인의 체질 또는 기저질환에 따라 효능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 후에 진행되어야 한다.
끝으로 역류성 식도염과 담적병은 간단한 식이요법, 식습관 만으로도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평소 기름진 음식, 자극적인 음식은 삼가고 폭식, 야식, 음주 등의 안좋은 식습관을 피하는 것 만으로도 해당 질환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역류성식도염 초기에는 비교적 간단한 처방으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역류성식도염이 의심된다면 빠르게 병원에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