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이어지는 소화불량, 담적에서 원인 찾아야

현대인에게 스트레스는 일상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과중한 업무와 경쟁 사회에서의 긴장감, 불규칙한 생활 습관이 반복되면서 신체 곳곳에 부담이 쌓이게 된다. 특히 위장은 스트레스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장기로, 긴장과 불안이 지속되면 소화불량이나 속쓰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시적인 증상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신경성 위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신경성 위염은 위내시경이나 영상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지만, 소화불량이나 속쓰림 등의 증상이 지속되는 질환이다.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식습관 불균형, 내장 기능 저하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반적으로는 약물 치료로 증상이 완화되지만, 장기간 지속될 경우 다른 원인이 없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신경성 위염의 근본적인 원인을 담적병에서 찾는다. 담적병은 음식물 노폐물이 위장 내에서 부패하며 생성된 병리 물질인 담 독소가 위장 외벽 근육층에 쌓여 굳어지는 질환이다. 담 독소가 축적되면 위장 운동성이 저하되어 소화불량, 복통 등 다양한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담적이 장기화되면 체내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독소가 퍼지면서 두통, 어지럼증, 안구 건조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어 초기에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에 독소가 축적되는 특징이 있어 일반적인 내시경 검사만으로는 발견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600배율 모세혈관 진단기를 이용해 혈관의 형태, 혈류 흐름, 탁도 등을 관찰하는 혈액 내 담 독소 관찰 현미경 검사를 진행하면 정확한 상태 파악에 도움이 된다.

 

담적병으로 진단받았다면 한방 치료를 통해 신경성 위염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특수한 미생물로 발효 처리한 한약을 복용해 담 독소 분해와 소화 운동 촉진을 돕는 발효 한약 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복부에 온열 자극을 가해 담 독소를 제거하고 위장 운동성을 개선하는 한방 온열 요법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면역 물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주사액을 경혈에 투여해 면역력을 강화하고 피로 회복을 돕는 약침 치료도 병행할 수 있다. , 치료 방법과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경성 위염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불규칙한 식사 패턴을 바로잡고,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과 과음을 피하는 것이 좋다. 대신, 담백하고 부드러운 식단을 유지하며 개인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는 것이 위장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도움말 : 대구위담한의원 김판준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사이트(HeathInsight)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