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을 살다 보면 자극적인 음식을 자주 섭취하거나 식사 시간이 불규칙해지기 쉽다. 이처럼 건강한 식습관과는 거리가 먼 생활이 반복되면서,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되지 않아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증상 초기에는 단순한 소화불량으로 치부하며 가벼운 위장약으로 대처하는 경우가 많으나 약을 복용해도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을 의심하고 전문적인 관리와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사진설명 : 위담한방병원 최규호 원장}
기능성 소화불량은 특별한 기질적 질환 없이 만성적인 소화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생활 습관과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교정을 통해 증상이 호전되지만, 치료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다면 다른 원인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한의학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을 '담적병'과 관련된 문제로 본다. 잘못된 식습관이 지속되면 위장 내 노폐물이 부패하면서 '담 독소'가 생성된다. 독소가 위장 외벽에 축적되면 위장 내 유익균이 감소하고 병원성 미생물이 증가하며 위장의 운동성과 기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만성적인 소화불량, 속쓰림, 더부룩함 등 다양한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에 독소가 축적되는 질환으로, 일반적인 검사로는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장 외벽과 내부 장기의 상태 및 독소 축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EAV 검사가 유용하며 복진, 설진, 맥진 등의 검사를 병행하면 보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다.
담적병으로 진단되었다면, 다양한 한방 치료를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특수 미생물로 발효 처리한 한약을 복용하여 담 독소를 분해하고 위장 소화 운동을 촉진하는 발효 한약 요법이 대표적이다. 또한 복부에 온열 자극을 가해 굳어진 위장을 풀어주고 저하된 위장 운동을 개선하는 한방 온열 요법과, 순수 생약제를 증류 멸균한 한방 주사액을 경혈에 주입하는 약침 요법도 효과적이다. 다만, 치료 효과와 기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해야 한다.
기능성 소화불량의 예방과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과식과 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식사 시간을 유지하며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휴식은 소화불량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최규호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