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회사원 강씨(45세, 여)는 얼마전부터 자려고 누우면 경미한 복부 통증이 느껴졌다. 회사일이 바빠 병원 가기를 차일피일 미루고 있던 강씨는 어느날 우측 갈비뼈에서 옆구리에 이르는 부위에 강한 통증을 느꼈다. 겁이난 강씨는 결국 병원을 찾아 복부 초음파, CT, 위내시경 같은 각종 검사를 진행하였고 담석증을 진단 받았다.
[사진 : 양병원 정승규 원장]
담석이란 간에서 만드는 소화액인 담즙이 담관이나 담관 내부에서 비정상적으로 농축되어 딱딱한 돌로 만들어지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담석이 염증이나 폐쇄를 야기하는 것을 담석증이라고 부른다. 이때, 복통과 소화불량 등 여러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담석증은 다앙한 증상으로 나타는데, 담석이 생겼음에도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가장 흔한 담석증의 증상은 복통이다. 눈의 흰자와 얼굴색이 노란빛을 띄는 황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오심과 구토, 발열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평소와 달리 소화불량이 잦고, 5시간 이상 오른쪽 옆구리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내원해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검사는 주로 복부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행된다. 비교적 작은 담석까지 분별해 낼 수 있지만, 담석이 간 이나 담관 내부에 생겼다면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담석이 있지만 크키가 작고 무증상이거나 정상적 기능의 담낭은 1년에 한번 복부초음파로 관찰하게 된다. 그러나 증상이 있거나, 크기가 3cm 이상인 큰 담석, 담석과 담낭용종과 동반된 경우, 담낭 벽이 두꺼워진 경우 등은 담낭절제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 담낭절제술은 개복수술로 진행됐지만, 최근에는 배꼽 부위에 2cm 미만의 작은 구멍을 내어 복강경을 통해 치료하는 수술이 대부분이다.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3~4개 정도의 구멍을 내고 이를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와 수술기구를 넣어 치료하게 된다. 더 나아가 현재는 배꼽 또는 복벽을 통해 한 개의 통로로 수술을 시행하는 단일통로 복강경 수술법이 주목받고 있다.
단일공 복강경 방법은 기존 복강경 수술이 3~4개 절개창을 내는 것에 비해 배꼽 부위에 2cm 미만의 작은 절개창을 하나 내기 때문에 상처 범위를 줄일 수 있다. 덕분에 수술 후 통증이 경감되었고 회복 시간도 빨라졌다. 하지만 단일공 복강경은 난이도가 높은 수술로 숙련도가 높고 수술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가 집도하는지 따져보아야 한다.
담석을 제거한 후에도 식단조절이 필요하다. 지방이 많은 음식이나 견과류, 술, 밀가루음식 등은 피하는 것이 좋고 섬유질이 풍부한 야채, 육류대신 생선등을 가급적 찌거나 삶아서 조리하는 것을 권장한다.
(도움말 : 양병원 정승규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