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거주중인 직장인 박씨(42세,남)는 평소 회식과 모임 등 잦은 술자리를 즐겨왔다. 하지만 얼마 전부터 가만히 있어도 복부팽만감이 심하게 느껴졌고, 조금이라도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속이 매우 쓰렸다. 약국에서 약을 사서 먹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불안한 마음에 병원에서 여러 검사를 받았고 만성위축성위염으로 진단 받았다.
[사진=위담한방병원 최서형 대표원장]
박씨와 같은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 스트레스와 함께 잘못된 식습관이 형성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패턴이 반복되면 속 쓰림 같은 위염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위염은 맵고 짠 음식을 자주 먹는 습관, 불규칙한 식습관에 의해 급성 형태로 잘 발생하는데, 이 경우 대부분 며칠간 음식만 조심해도 쉽게 회복된다.
그러나 문제는 위염이 자주 발생할 때이다. 위염을 앓다가 낫기를 자주 반복하면, 위장의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세포의 재생이 어려워지게 되어 위장의 표면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위장벽이 얇아지는 위축성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위축성위염이 만성화되면 위 점막세포가 지속적으로 손상되어 소장이나 대장 세포로 대체되는 장상피화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장상피화생은 점막이 빨갛게 형성되는 증상, 혈관이 두두러지는 증상으로 나뉜다. 장상피화생이 발병할 경우 상복부 팽만감, 만성 소화불량, 식욕 저하, 체중 감소, 잦은 트림, 구취, 검은 변 등의 증상을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장상피화생을 방치하면 최악의 경우 위암에 노출 될 수 있으므로 제대로 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적 관점에서는 만성위축성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의 원인을 소화기 장애로 비롯된 담적병으로 지목한다.
잘못된 식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위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생된 담 독소가 누적되면서 위장 기능은 더욱 떨어지고 또 아 담 독소가 전신에 퍼지면서 만성 소화불량과 함께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으로 악화되게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담 독소는 더욱 쌓이고 전신에 퍼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위 세포조직이 장 세포조직처럼 변하면서 심하면 암세포로 발전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담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장상피화생 치료는 위장에 쌓인 담적을 제거하고, 굳어진 위장을 풀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위장 근육층을 포함한 외벽에 특수 미생물을 발효하여 처리한 한약요법을 적용하여 담 독소를 분해하고 배출하게 된다. 한약요법과 함께 굳은 위장을 부드럽게 풀어내는 소적, 아로마 등 한방 온열요법을 병행하여 위장환경을 개선하고, 위장의 기능을 회복한다. 단 치료기간은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치료를 받으면서 잘못된 식습관 및 생활 습관 개선도 병행해야 보다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과식, 폭식, 야식 등 위장에 부담이 될 수 있는 것들은 삼가야 한다. 음식을 빨리 먹지 않도록 하며, 소화가 잘 되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다. 또한 심신 안정, 수면관리,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최서형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