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이 계속되면 단순히 스트레스나 피로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으로 여기고 진통제로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약을 먹어도 증상이 반복되고, 두통과 함께 소화불량이나 복부 불편감이 나타난다면 위장 건강과의 연관성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경우, 담적병으로 인한 혈류 순환 저하가 원인이라고 본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담적병이란 담 독소가 위장 이면 조직에 축적되어 굳어지는 질환이다. 담적의 원인이 되는 담 독소는 과식, 불규칙한 식사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위장에 남은 음식물 노폐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한 병리 물질이다. 담적은 위장 운동 기능을 저하하여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등 각종 위장관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이를 방치할 경우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독소가 전신으로 퍼지면서 혈류 흐름을 저하시키고 뒷목 근육을 긴장시켜 만성적인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위장 이면 조직에 독소가 축적되는 담적병의 특성상, 위장 내부를 관찰하는 일반적인 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장 외벽과 내부장기의 상태와 독소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EAV 검사를 시행하면 좋다. 이와 함께 복진, 맥진, 설진 등의 검사를 병행하면 보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다.
담적병으로 진단받았다면, 발효 한약 요법을 통해 담 독소를 배출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두통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한방 온열 요법을 활용해 굳어진 위장을 이완시키고 저하된 위장 운동성을 개선함으로써 두통과 함께 나타나는 소화기 증상도 완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면역력과 저항력을 강화하는 약 찜 치료를 병행하면 두통의 재발을 줄이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효과와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한 후 진행해야 한다.
담적으로 인한 두통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우선, 규칙적인 식사와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 과식이나 야식, 자극적인 음식은 담 독소를 발생시켜 두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를 줄이면 신체의 긴장을 완화하여 두통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움말 : 위담한방병원 나병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