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 더부룩하고 소화불량 지속된다면, "담적"이 원인


소화불량, 속쓰림, 복통 등의 소화기 증상을 겪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증상들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두통, 어지럼증과 같은 위장 외 증상까지 동반된다면 담적병을 의심해야 한다.




{사진 설명 대구위담한의원 김판준 원장}

 

 

담적병이란 담 독소가 위장 외벽 근육층에 쌓여 굳는 질환을 말한다. 담 독소란 과식, 야식 등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위장에 남은 음식물 노폐물에서 발생하는 병리 물질이다. 담 독소가 쌓이면 위장의 기능과 운동성을 저하해 소화불량, 속쓰림, 복통 등의 증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혈관과 림프관을 타고 전신에 영향을 미쳐 두통,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 근육층에 담 독소가 쌓이는 특징이 있어, 일반적인 검사로는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모세혈관 현미경을 이용해 혈관의 형태와 탁도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혈액 내 담 독소 관찰 현미경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복진, 설진, 맥진 등 다양한 검사를 병행할 수 있다.

 

검사를 통해 담적병으로 진단되었다면, 특수 미생물로 발효 처리한 생약을 복용해 담 독소를 분해하는 발효 한약 요법을 진행한다. 이외에 아로마 오일을 이용해 위장에 온열 자극을 주어 독소 배출과 위장 운동성을 개선하는 아로마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또한 한약재의 약리 작용과 온열 자극으로 위장 세포의 흡수력을 개선하고 담 독소를 배출하는 소적 치료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치료 효과와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상담이 필요하다.

 

담적병의 원인인 담 독소는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질로 올바른 식습관 교정이 필요하다. 영양소가 풍부하고 신선한 식단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소량씩 식사를 하며 식후 바로 눕는 등의 습관을 개선하면 좋다.(도움말 : 대구위담한의원 김판준 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사이트(HeathInsight)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