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나들이 후 지속되는 소화불량, '이것'이 원인일 수도
신선한 가을 날씨에 나들이를 즐기며 과식하는 분들이 많아졌다. 나들이 이후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났으나, 단순한 배앓이라고 여기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소화불량이 나아지지 않고, 명치 답답함과 잦은 트림까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결국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아도 뚜렷한 원인이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 사진 : 강남위담한방병원 나병조 원장 위 처럼 과식이나 불규칙한 식사 후 소화기 증상이 지속되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약을 복용해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담적병을 의심할 수 있다. 담적병은 담 독소가 위장 외벽 근육층에 쌓여 굳는 질환이다. 담적의 원인이 되는 담 독소는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위장 안에 남은 음식물 노폐물이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병리 물질이다. 위장 내에 독소가 발생하면 병원성 미생물이 증가하고 위장의 운동 기능이 저하되어 소화불량, 잦은 트림, 명치 답답함 등 다양한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담적이 장기화되면 독소가 체내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가 두통, 어지럼증 등 다양한 전신 증상까지 유발할 수 있어 적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담적병은 위장 외벽 근육층에 독소가 쌓이는 질환으로, 위 내부를 관찰하는 일반적인 검사로는 진단이 어렵다. 따라서 위장 외벽을 비롯한 내부 8개 장기의 상태와 독소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EAV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 위장의 굳기를 파악하는 복진, 설진, 맥진 등의 검진도 병행 가능하다. 담적병으로 진단되었다면 특수한 미생물로 발효한 한약을 복용하여 담 독소를 분해하고 위장 점막 조직을 보호하는 발효 한약 요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복부에 온열 자극을 주어 냉해진 위장관을 따뜻하게 해주고 저하된 위장 운동성을 개선하는 한방 온열 요법도 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10가지 한약재로 만든 토양 팩으로 찜질을 해 위장 근육의 긴장을 이완해 주고 담 독소 배출을 도와주는 약 찜 치료도 병행할 수 있다. 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 효과와 기간은 달라질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진행해야 한다. 담적병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치료와 함께 잘못된 생활 습관을 교정하면 좋다. 과식, 불규칙한 식사 등 잘못된 식습관을 피하고 부드럽고 담백한 음식을 소량씩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소화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